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domparser
- react router
- json-server
- javascript
- WFS
- useNavigate
- useEffect
- useSearchParams
- Kotlin
- JS
- 밑줄 슬라이딩 애니메이션
- React
- my json server
- useParams
- unshift
- json-server 배포
- API호출
- Pagination
- underline
- Redux
- html
- 시멘틱태그
- css
- async/awiat
- 현재 날짜 시간 구하기
- XML Parsing
- 코틀린
- json-server 설치
- sidemenu
- WMTS
- Today
- Total
나만의 작은 코딩
GIS 개념 정리 및 이해 본문
OWM(Open Weather Map)으로 클론코딩을 하다가 지도를 띄우는 작업을 했어야 했는데 쉽지 않았다.
클론코딩을 접고 지도를 띄우는 것에 집중했는데 모르는 개념이 너무 많다.
공부하면서 계속 여기에 적어보자.
OGC
Open Geospatial Consortium - 개방형 공간 정보 컨소시엄으로 전 세계 500곳 이상의 사업, 정부, 비영리, 연구 단체들이 지리 공간적 콘텐츠와 서비스, 센서 웹, 사물 인터넷, GIS데이터 처리, 데이터 공유를 위한 개방형 표준의 개발 및 구현을 장려하는 콘센서스 프로세스에서 서로 협업한다.
-출처 : https://jaeman1990.tistory.com/54 (제리안)
GIS
Geographic Information System(지리정보체계) - 지리공간적으로 참조가능한 모든 형태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, 저장, 갱신, 조정, 분석, 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 지리적 자료, 인적자원의 통합체를 이야기한다.
지도를 통해서 실제 지리데이터를 정보로 표현할 수 있지만, 각 이용자의 관심사를 반영하기는 어려운 제약이 있다.
GIS를 운용하기 위한 다섯 가지 구성요소
1) Computer system : 계산 능력을 보유한 컴퓨팅 환경
2) GIS software : 다양한 보고서들은 ESRI사와 Intergraph Corporation사의 제품을 사용하기를 권장하고 있다.
3) People : 이 컴퓨터와 소프트를 다룰 수 있는 인재
4) Data : 분석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
5) Infrasructure : 분석을 마친 GIS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전반적인 사회환경구조가 갖춰져 있어야한다.
- 참조 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지리_정보_체계
OGC가 GIS의 서비스 표준을 만들고 있으며, GIS의 서비스로는 WMS, WFS, WMTS, WPS등으로 분류된다.
- WMS : 웹 전반에 걸친 지도 공유에 관환 웹 맵 서비스
- WFS : 공간정보 데이터에 직접 접근할 수 있는 웹 전반에 걸친 피처 데이터 공유에 관한 웹 피처 서비스
- WMTS : 베이스맵용 웹 전반에 걸친 프리캐쉬 맵 타일 공유에 관한 웹 맵 타일 서비스
- WPS : 동적 공간 정보 분석용 웹 전반에 걸친 지오프로세싱 서비스 공유에 관한 웹 프로세싱 서비스
- 참조: http://www.esrikr.com